한국에서 키우고 있는 소형견의 경우, 슬개골 탈구는 굉장히 흔한 증상 중 하나입니다.
내가 키우고 있는 강아지가 두발로 걷거나 뒷다리로 점프할 때마다 걱정할 수 밖에 없는게 견주님들의 마음일텐데요.
이번과 다음 포스팅에서는 강아지 슬개골 탈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에 관련한 모든 것(1)_슬개골 탈구의 원인과 증상
우선 강아지 슬개골 탈구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의 슬개골 탈구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둘 다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선천성 기형
슬개골 탈구의 많은 경우에는 유전적 요소가 존재합니다.
일부 품종, 예를 들면 치와와, 요크셔테리어, 포메라니안, 페키니즈와 같은 소형 품종이 특히 슬개골 탈구에 더 취약합니다.
이 견종은 종종 얕은 대퇴골 홈이나 잘못 정렬된 다리 뼈와 같은 슬개골 불안정성에 기여하는 해부학적 이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외상 또는 부상
무릎 관절의 외상으로 인해 슬개골이 탈구될 수 있습니다.
사고, 낙상 또는 무릎에 대한 직접적인 외상은 인대, 힘줄 및 근육을 포함한 관절의 지지 구조를 손상시켜 슬개골 탈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근육 약화 또는 불균형
무릎 관절을 둘러싼 근육이 약하거나 불균형하면 슬개골 불안정성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근육이 적절하게 발달하지 않았거나 강도가 불균형할 때 슬개골을 적절히 지지하지 못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4. 비만
과도한 체중은 무릎을 포함한 관절에 스트레스를 증가시킵니다.
비만으로 인한 과체중은 슬개골을 제자리에 고정하는 인대와 힘줄을 긴장시켜 탈구에 더 취약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5. 퇴행성 관절 질환
골관절염과 같은 상태는 관절 퇴화를 일으켜 주변 구조를 약화시키고 슬개골 탈구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슬개골 탈구는 탈구의 정도를 나타내는 다양한 등급으로 심각도가 다양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슬개골 탈구 1~2기는 자발적으로 교정되는 간헐적 탈구를 포함하는 반면, 4기로 갈수록 심각하고 슬개골이 영구적으로 탈구되는 것을 나타냅니다.
그렇다면 강아지가 어떠한 증상을 보일 때 슬개골 탈구를 의심해볼 수 있을까요?
강아지의 슬개골 탈구 증상은 상태의 중증도와 개별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주의해야 할 일반적인 징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간헐적 절름발이
슬개골 탈구가 있는 개는 간헐적으로 절름발이 증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절름발이는 탈구의 정도에 따라 빈도와 지속 시간이 달라지며 오락가락할 수 있습니다.
2. 비정상적인 보행
슬개골 탈구가 있는 개는 비정상적인 보행이나 보행 패턴을 보일 수 있습니다.
움직일 때, 특히 슬개골이 일시적으로 탈구되었다가 스스로 재배치될 때 깽깽이로 뛰거나 두 발을 같이 뛰는 "토끼 뛰기" 동작을 보일 수 있습니다.
3. 절뚝거림 또는 다리 들기
슬개골이 장기간 탈구된 상태로 남아 있으면 개가 지속적으로 절뚝거리는 모습을 보이거나 영향을 받은 다리를 완전히 위로 올릴 수 있습니다. 이것은 더 심각한 슬개골 탈구의 징후일 수 있습니다.
4. 다리 펴기 어려움
슬개골 탈구가 있는 개는 영향을 받는 쪽 다리를 완전히 펴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다리를 펴려고 할 때 주저하거나 운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5. 통증 또는 불편함
슬개골 탈구가 있는 개는 무릎 관절 주변에 통증, 불편함 또는 민감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슬개골 쪽을 만지려고 할 때 통증의 징후를 보이며 손길을 거부할 수 있습니다.
6. 딸깍 소리 또는 터지는 소리
경우에 따라 슬개골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면 딸깍 소리나 터지는 소리가 들릴 수 있습니다.
이것은 슬개골이 스스로 탈구되거나 재배치될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근육 위축
슬개골 탈구가 오래 지속되거나 심각한 경우 영향을 받는 다리의 근육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위축된 근육은 영향을 받지 않은 다리의 근육에 비해 더 작거나 덜 발달된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다른 정형외과적 상태나 부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징후를 발견하거나 반려견의 슬개골 탈구가 의심되는 경우, 빠른 시일내 동물병원을 방문하여 수의사의 지시에 때라 추가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슬개골 탈구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글에서는 이러한 슬개골 탈구의 예방법과, 슬개골 탈구가 어느정도 진행됐을시 할 수 있는 조치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곘습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에 관련한 모든 것(2)_슬개골 탈구 예방과 조치
지난 번 포스팅에서는 강아지 슬개골 탈구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https://dinga-linga.tistory.com/entry/%EA%B0%95%EC%95%84%EC%A7%80-%EC%8A%AC%EA%B0%9C%EA%B3%A8-%ED%83%88%EA%B5%AC%EC%97%90-%EA%B4%80%EB%A0%A8%ED%95
dinga-linga.tistory.com
'강아지 > 강아지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필수 예방접종, 횟수와 종류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19) | 2023.08.13 |
---|---|
강아지 슬개골 탈구에 관련한 모든 것(2)_슬개골 탈구 예방과 조치 (0) | 2023.07.16 |
강아지 단호박 먹어도 괜찮을까? 단호박 급여 방법과 주의사항! (0) | 2023.07.11 |
강아지 고구마 급여 방법과 주의사항 (1) | 2023.07.10 |
강아지가 먹어도 좋은 채소·야채 종류 (0) | 2023.07.06 |